― 자율주행차의 균형 감각, IMU를 이해하자 ―
🚗 IMU란 무엇인가?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관성측정장치)는
자율주행차의 “감각 신경” 역할을 하는 핵심 센서입니다.
이 장치는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이용해
차량의 가속도, 회전속도, 자세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합니다.
즉, GPS가 “어디 있는가”를 알려준다면,
IMU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

🧩 IMU의 구성 요소
| 구성요소 | 역할 | 출력값 |
| 가속도계 (Accelerometer) | 차량의 직선 운동 감지 | x, y, z축 가속도 |
| 자이로스코프 (Gyroscope) | 차량의 회전 운동 감지 | x, y, z축 각속도 |
| 자기센서 (Magnetometer, 선택) |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 보정 | Heading(방위각) |
➡️ 3축(3-axis) IMU는 6자유도(6 DOF)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에서는 9 DOF IMU (가속도+자이로+자기센서)가 자주 사용됩니다.
🧠 IMU의 동작 원리
IMU는 물리학의 뉴턴 역학 법칙에 기반합니다.
- 가속도계:
- 차량이 전진하면 질량체가 관성에 의해 뒤로 밀립니다.
- 이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가속도를 측정합니다.
- 자이로스코프:
- 회전하는 물체의 각운동량 보존 원리를 이용합니다.
- 차량이 좌우로 회전할 때, 회전축 방향으로 각속도 신호를 생성합니다.
- 자기센서(보조):
- 지구 자기장을 기준으로 방향(Heading)을 보정하여
Yaw(방위각) 오차를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 지구 자기장을 기준으로 방향(Heading)을 보정하여
📊 IMU 데이터 처리 과정
IMU의 센서 데이터는 노이즈와 오차가 많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면 차량의 위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드리프트(Drift) 됩니다.
따라서 아래의 신호 처리 단계를 거칩니다.
1️⃣ 센서 데이터 필터링
- LPF (Low Pass Filter): 고주파 노이즈 제거
- HPF (High Pass Filter): 저주파 드리프트 제거
- Complementary Filter: 가속도계와 자이로 데이터를 보완적으로 융합
2️⃣ 적분 연산 (Integration)
- 가속도를 한 번 적분 → 속도
- 속도를 한 번 더 적분 → 위치
👉 하지만 적분 오차 누적(Drift)이 발생하기 때문에
GPS, LiDAR 등 외부 센서와 융합이 필요합니다.
3️⃣ 센서 융합 (Sensor Fusion)
- IMU 단독으로는 장시간 정확한 위치 추적이 어렵습니다.
- 따라서 다음 글에서 다룰 EKF (Extended Kalman Filter)와 같은 알고리즘으로
GPS, 카메라, LiDAR 데이터를 융합하여 정확도를 높입니다.
⚠️ IMU의 오차 요인
| 오차 원인 | 설명 | 영향 |
| 바이어스(편차, Bias) | 센서의 영점(Zero) 값이 항상 일정하지 않음 | 시간 경과 시 위치 오차 누적 |
| 스케일 팩터(Scale Factor) | 출력이 실제보다 과대 또는 과소 비례 | 가속도·각속도 계산 오차 |
| 노이즈(Noise) | 전기적, 열적 간섭으로 발생 | 센서 신호 불안정 |
| 드리프트(Drift) | 적분 과정에서 누적된 오차 | 위치 오차 수 cm → 수 m 증가 |
IMU는 매우 빠르게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오차가 누적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한 센서 융합 알고리즘이 필수입니다.
🔧 자율주행차에서의 IMU 활용 예시
-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 GPS 음영 지역에서 차량 위치 추정
- 급가속·급회전 상황에서 차량 안정성 제어(ESC, ABS 등)
- 도로 기울기, 커브 구간에서의 경사 보정
- SLAM(Localization + Mapping)에서 Pose 예측
👉 IMU는 GPS가 끊겨도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하게 해주는
Dead Reckoning(자기추적 항법)의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 한 줄 요약
IMU는 자율주행차의 균형감각 센서다.
하지만 단독으로는 정확하지 않기에, GPS와의 융합이 필수다.
📚 다음 글 예고
👉 [Day 48: GPS + IMU 융합 (EKF 적용)]
GPS의 절대 위치 정보와 IMU의 상대 운동 정보를
EKF(Extended Kalman Filter)로 결합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센서 융합의 핵심 알고리즘을 직관적으로 이해해볼게요.
'자율주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Day 49: GPS + IMU + LiDAR 융합 (0) | 2025.10.15 |
|---|---|
| 🤖 Day 48: GPS + IMU 융합 (EKF 적용) (0) | 2025.10.14 |
| 🚗 Day 46: GPS 원리와 오차 원인 학습 (0) | 2025.10.12 |
| Day 45: Visual vs LiDAR SLAM 비교 (0) | 2025.10.11 |
| Day 44: 3D SLAM 실습 (LiDAR 데이터 활용) (0)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