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A를 무너뜨릴 양자의 계산, 그 원리는?
현대 디지털 사회의 보안은 대부분 소인수분해의 어려움에 기반한 암호 알고리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RSA 암호죠. 하지만 1994년, 수학자 피터 쇼어(Peter Shor)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이 암호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Shor 알고리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hor 알고리즘의 원리, 암호학적 파급력, 그리고 실제 구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양자컴퓨팅이 가져올 보안 혁명의 실체를 살펴봅니다.
🧠 Shor 알고리즘이란?
Shor 알고리즘은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큰 수를 빠르게 소인수분해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고전 컴퓨터에서는 소인수분해가 매우 느리고 복잡한 계산이지만, 양자컴퓨터는 양자중첩과 양자푸리에변환(QFT)을 활용해 지수적으로 빠른 속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2048비트 RSA 키를 고전 컴퓨터로 깨려면 수백만 년이 걸릴 수 있지만, 양자컴퓨터는 이 문제를 몇 시간 또는 몇 분 안에 해결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RSA 암호와 Shor 알고리즘의 관계
RSA 암호는 두 개의 큰 소수를 곱해 만든 수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이 수를 다시 소인수분해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보안이 유지되죠.
하지만 Shor 알고리즘은 이 과정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RSA의 근본적인 보안 구조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파급력
- 금융 거래, 인증 시스템, 전자서명 등
-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HTTPS, SSL 등)
- 정부·군사 통신망
🎯 Shor 알고리즘은 단순한 수학적 발견이 아니라, 디지털 사회 전체의 보안 체계를 재설계해야 할 만큼의 충격을 줄 수 있는 기술입니다.
⚙️ 알고리즘의 핵심 구조
- 고전적 전처리: 소인수분해할 수 N을 선택
- 양자 단계: 주기 찾기 문제로 변환
- 양자푸리에변환(QFT)을 통해 주기 계산
- 고전적 후처리: 주기를 이용해 소인수 계산
이 구조는 양자와 고전 계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며, 양자컴퓨터의 병렬성과 간섭 효과를 극대화해 계산 효율을 높입니다.
🧪 실제 구현 가능성
현재까지 Shor 알고리즘은 작은 수에 대한 실험적 구현만 성공했습니다. 예: 15, 21, 35 등
하지만 큐비트 수가 수백~수천 개로 늘어나면 실제 RSA 키를 깨는 수준의 계산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대표적 연구 사례:
- IBM: 7큐비트로 15 소인수분해 성공
- Google: 양자 시뮬레이터 기반 테스트
- 중국과 유럽: 양자 암호 대비 기술 개발 중
📈 양자암호의 필요성
Shor 알고리즘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자내성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 격자 기반 암호
- 해시 기반 서명
- 코드 기반 암호
🔐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기 전까지, 기존 암호체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기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다음 글 예고:
Day 16 – Grover 알고리즘: 검색의 패러다임 전환 Shor 알고리즘이 암호를 깨는 기술이라면, Grover 알고리즘은 검색 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최적화 문제, AI 학습 등에 응용 가능한 Grover 알고리즘의 원리와 실제 활용 가능성을 소개합니다.
'양자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ay 17 — 양자 시뮬레이션: 화학과 물리의 새로운 도구 (0) | 2025.08.13 |
---|---|
🔍 Day 16 — Grover 알고리즘: 검색의 패러다임 전환 (0) | 2025.08.12 |
⚙️ Day 14 — 양자 하드웨어의 다양한 접근: 초전도체 vs. 이온트랩 vs. 광양자 (0) | 2025.08.10 |
🧪 Day 13 — 국내 양자기술 현황: KIST·ETRI의 연구 동향 (0) | 2025.08.09 |
🧠 Day 12 — D-Wave의 양자 어닐링: 최적화 문제의 실험적 해결 (0) | 202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