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서론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에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SLAM은 말 그대로 로봇이나 자율주행차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Localization)하면서 동시에 주변 환경의 지도를 작성(Mapping)하는 기술입니다.
즉, SLAM은 “나는 어디에 있는가?”와 “내 주변은 어떤 환경인가?”라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SLAM의 필요성
- GPS가 항상 정확하지 않은 실내나 터널, 도심 고층 건물 사이에서는 위치 추정에 한계가 있습니다.
-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위치 추정과 환경 인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SLAM은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특히 자율주행차의 경우, 주행 안정성, 장애물 회피, 경로 계획 모두 SLAM의 성능에 크게 의존합니다.
3. Localization (위치추정) 문제 정의
Localization은 차량이나 로봇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 좌표를 추정하는 과정입니다.
- GPS 기반 위치 정보와 달리, SLAM의 Localization은 센서(LiDAR, 카메라, IMU 등)를 통해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합니다.
- 오차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필터(EKF, Particle Filter 등)와 센서 융합 기술이 적용됩니다.
- Localization의 궁극적 목표는 “현재 위치를 최대한 정확하게 추정하여 환경 지도와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4. Mapping (지도작성) 문제 정의
Mapping은 로봇이 이동하면서 주변 환경의 구조를 지도 형태로 그려내는 과정입니다.
- 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카메라 영상, 초음파 센서 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경을 모델링합니다.
- 정적 환경(도로, 건물, 벽)과 동적 객체(보행자, 차량)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 Mapping 결과물은 자율주행 시스템의 경로 계획, 충돌 회피, 고정밀 지도 구축에 활용됩니다.
5. SLAM의 핵심 과제
- 상호 의존성 문제: 위치추정을 하려면 지도가 필요하고, 지도를 작성하려면 정확한 위치가 필요합니다. 이 두 과정이 서로 얽혀 있어 ‘닭과 달걀’ 문제처럼 순환적 구조를 가집니다.
- 실시간성: 차량이나 로봇이 움직이는 동안 끊김 없이 빠르게 계산해야 하므로, 고속 연산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 오차 누적 최소화: 센서 노이즈나 계산 오차가 누적되면 지도 왜곡과 위치 추정 오류가 발생합니다.
6. 실제 적용 사례
- 자율주행차: GPS 음영 지역에서도 주행 안정성을 보장
- 로봇청소기: 집 내부 지도를 작성해 효율적인 청소 경로 확보
- 드론: GPS가 닿지 않는 실내 건물 내부 탐사
- 군사·재난 구조: GPS가 차단된 환경에서 신속한 탐색과 구조 활동
반응형
7. 마무리
SLAM은 단순히 지도 작성 기술이 아니라, 자율주행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SLAM은 더욱 정밀해지고, 딥러닝·센서 융합 기술과 결합하여 자율주행의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 다음 글 소개
다음 글에서는 [Day 32: EKF-SLAM 수학적 원리 학습]을 다룹니다. EKF(Extended Kalman Filter)는 SLAM의 대표적인 접근 방식 중 하나로, 확률적 추정과 오차 보정을 수학적으로 다루는 강력한 기법입니다.
👉 EKF-SLAM이 어떻게 Localization과 Mapping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지, 그 원리를 수학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반응형
'자율주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33: Python으로 간단한 EKF-SLAM 구현 (0) | 2025.09.29 |
---|---|
Day 32: EKF-SLAM 수학적 원리 학습 (0) | 2025.09.28 |
🛰️ Day 30: 센서 융합 종합 프로젝트 (ROS2 기반) (0) | 2025.09.26 |
📡 Day 29: Radar + LiDAR 융합 실습 (0) | 2025.09.25 |
📷 Day 28: LiDAR + Camera 융합 (Feature matching)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