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9

🚗 Day 46: GPS 원리와 오차 원인 학습

― 자율주행의 눈, GPS를 이해하자 ―🌍 GPS란 무엇인가?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지구 어디에서든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위성 기반 위치 측정 시스템이에요.미국 국방부가 개발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에서 위치, 속도,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자율주행차에서는 GPS가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경로 계획 알고리즘과 결합되어 정확한 주행 경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GPS의 작동 원리GPS는 최소 4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차량의 위치를 계산합니다.이 과정을 삼변측량법(Trilateration)이라고 부릅니다.위성 신호 수신:각 위성은 자신의 위치와 신호 발송 시간을 포함한 정보를 전송합니다.거리 계산:위성에서..

자율주행 2025.10.12

Day 45: Visual vs LiDAR SLAM 비교

1. 서론이전 글에서는 3D SLAM 실습 (LiDAR 데이터 활용)을 진행하며, LiDAR 기반 SLAM의 작동 원리를 직접 경험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Visual SLAM과 LiDAR SLAM의 핵심 차이를 비교하며, 어떤 기술이 어떤 상황에서 더 효율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두 기술은 모두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즉 “자신의 위치와 지도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이라는 점은 같지만, 사용하는 센서 데이터의 형태와 처리 방식이 다릅니다.2. Visual SLAM이란?Visual SLAM(비주얼 SLAM)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입니다.📷 주요 특징입력 데이터: 이미지(모노/스테레오 카메라, RGB-D 등)주..

자율주행 2025.10.11

Day 44: 3D SLAM 실습 (LiDAR 데이터 활용)

1. 서론이전 글에서는 2D SLAM 실습 (ROS bag 파일 사용)을 진행하며, 평면 지도 작성 과정을 살펴봤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한 단계 발전된 형태인 3D SLAM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3D SLAM은 단순한 평면(2D) 지도가 아닌, 고도(Height) 정보까지 포함한 입체 공간을 인식하고 매핑합니다.LiDAR 센서를 활용하면 이러한 3차원 환경 정보를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습니다.2. 실습 목표LiDAR 데이터를 이용해 3D SLAM을 실행하고 지도 작성RViz를 통해 3D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지도를 시각화2D SLAM과의 차이를 비교3. 실습 환경(1) 권장 시스템Ubuntu 20.04 + ROS NoeticGoogle Cartographer 설치 완료LiDAR 데이터셋 또는 실시간 센서..

자율주행 2025.10.10
반응형